양경제 포럼1

5월26일 13:30~15:30


벡스코 컨벤션홀 205호


세션 1

해양기능성 신소재의 해양경제적 가치



세션 1

해양기능성 신소재의 해양경제적 가치 (13:30 ~ 15:30)


Key Note Speech

김영석 실장 /  LG전자

김영석 실장은 LG 전자 H&A사업본부에서 기능성 유리 소재에 대한 원천기술 연구개발 및 개발된 기술을 양산화하는 활동을 수행해 오고 있으며, 현재 H&A* 기능성 소재 사업실장을 맡고 있다. 또한 유리산업 발전을 위해 한국세라믹 학회 유리부회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유리소재 연구로 부산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핀란드 알토대학교에서 경영학석사(MBA)학위를 취득하였다. *H&A: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좌장

김종성 교수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 전공, 같은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안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오염물질에 대한 생물 반응 등을 연구, 갯벌의 자정 능력을 세계 최초로 정량화해 생태계 서비스 가치를 과학적으로 입증하였으며, 해양 생물 건강성 평가 기법인 생태위해성 평가법을 제안하여 해양 환경 관리에 실질적인 기여를 했고 약 300편의 SCI 논문과 11,000회 이상의 피인용, h-인덱스 54를 기록하며 학술적 영향력을 인정받았다. 한국인 최초 국제 학술지 Regional Studies in Marine Science 총괄 편집장으로도 활동 중이다.

발제자

정성우 수석연구원 /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부산물자원화연구그룹

정성우 박사는 경상대학교에서 원예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네덜란드 Wageningen UR에서 식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LEDs 연구를 수행하는 포스닥 과정을 거쳐, 현재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부산물자원화연구그룹 수석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 입사 후 식물공장을 이용한 의료용 형질전환 식물의 개발과 상용화 연구, 바다숲 생태복원을 위한 철강부산물 활용 연구 등 다수의 상용화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 해오고 있으며, 저탄소 순환자원을 이용한 해양 생태복원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관한 연구가 주 관심 분야이다.

발제자

김남진 팀장 / LG 전자

김남진 팀장은 부산대학교에서 재료공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LG전자 H&A기능성소재사업실 소속으로 주 관심분야는 기능성 유리 분말의 개발과 상용화이다. 2011년 입사 이후 가전제품에 접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의 유리 조성을 개발해 왔으며 이와 관련된 원천소재기술 지식재산권 확보 활동을 활발하게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위생과 지구 환경에 이로운 소재를 연구하는 것이 주 연구분야이다.

발제자

한영석 소장 / ㈜NEB

한영석 연구소장은 인천대학교에서 해양생물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2004.2), 현재 ㈜네오엔비즈 환경안전연구소장을 거쳐, ㈜엔이비 연구소장으로 재직중이다. 한국조류학회 학술위원, 대한환경위해성 보건과학회 상임이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안전기술 수준평가 핵심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양생물자원의 활용, 해양생태계 보전, 해양의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 연구가 주 관심 분야이다.

발제자

박은정 교수 / 국립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

박은정 교수는 국립부경대학교 학사/석사, 일본북해도대학교에서 해조류 유전육종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소 해양수산연구사,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센터장(해양수산연구관)을 거쳐 현재 국립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전공의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해양수산부 ‘김산업 협의체’ 전문위원, 수산자원조성 평가위원, (사)한국수산과학회 운영위원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유용 해조류의 산업적 활용 범위 확장을 목적으로 바이오매스 확보에 필요한 요소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정부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종합토론

좌장과 발제자 4명이 종합토론을 진행한다.

* 부스운영 :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선급, LG전자, 극지해양미래포럼

식사 및 기념품, 경품 추첨 등의 사유로 5/26~5/27일 사전등록은 선착순 200명까지만 접수 받고자 합니다.